테라 루나 코인 사태와 탈중앙화에 대하여

테라 루나 코인 사태와 탈중앙화에 대하여

오늘은 최근 비트코인 시장의 폭락을 선도(?)하는

테라 루나 코인에 대해 얕게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준이 금리를 자이언트 스탭으로 조정할지,

빅스텝으로 조정할지를 놓고,

연일 물가와 주식시장이 요동을 치고 있죠.

안그래도 국제경제가 혼란에 빠져있는 이 시기,

한국발 코인 악재가 터지며

자산시장 전체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죠.

공포스러운 하락 커브

이번 사태는 단순히 ‘코인 시장’만의 문제가 아니라

탈중앙화의 움직임 전체에 대해 다시 생각해봐야하는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역시나 최대한 쉽게 쉽게 설명해드릴테니 따라오세요~


탈중앙화와 테라 코인

우선 ‘탈중앙화’에 대해 이해하는게 필요합니다.

쉽게 우리나라 돈인 ‘원화’를 예로 설명해드릴게요.

우리나라 원화는 한국은행에서 통제를 하죠.

물론 돈을 찍어내는 곳은 조폐공사 인데, 전체 통화량을 조절하는 것은 한국은행에서 맡고 있습니다.

통화량 이외에 원화로 표기된 돈들의 흐름은 금융감독위원회에서도 관리 감독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기술은 모든 사람이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장부를 통해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그 데이터의 소유권을 개인에게 돌려준다는 개념입니다.

중앙에서 통제하는 기관이 없는거죠.

테라는 탈중앙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했죠.

한발 더 나아가서 세계 경제의 기준이 되는 ‘기축통화’의 지위까지 꿈꾸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꿈을 현실화 하는데 필요한 것이

‘스테이블 코인’의 개념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이란

중앙에서 통제하는 실제 화폐(법정 화폐)와 동일한 가치를 갖는 코인을 말합니다.

각종 코인들의 가격에 변동성이 심하다는 약점을 보완했기 때문에

투자자들 사이에서 선호가 높았죠.

‘1 스테이블 코인 = 1달러’ 이런 식으로 현실 화폐로 가치가 고정되어 있어

좀 더 ‘안전하다’는 느낌을 주죠.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 인 테더

가장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 코인’은 테더와 달러의 교환비율을 1:1로 설계했죠.

하지만, 가장 대표적이라고 하는 테더 코인 조차 실제 준비금보다 6배나 더 발행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논란이 일기도 했죠.

어쨌든.

스테이블 코인이 미국 달러화와 동일한 가치를 갖는 것을 ‘페깅’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페깅을 위해서는 당연히 엄청난 양의 담보물이 필요하구요.

이번에 논란이 된 테라는 ‘루나’라는 쌍둥이 코인으로 페깅을 유지하는 구조였죠.

테라와 달러 가치의 변동에 따라

쌍둥이 코인인 루나를 소각하거나 발행해서 균형을 맞췄죠.

정상적인 구조 안에서는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능해서 탈중앙화가 가능하죠.

 


이번 테라 사태의 원인

테라 코인의 경우 더 많은 투자자를 모으기 위해

테라를 예치하면 연 20%에 달하는 이자를 약속했죠.

어마어마하죠. 연 20% 이자.

김치코인의 대표주자였던 테라.

사실 앞서 설명한 스테이블 코인으로서의 페깅을 위한 설계까지는

논리적으로 딱히 문제가 될 것이 없는.

기술에 바탕을 둔 가상화폐로 느껴지죠.

그런데, ‘연20%이자 보장’이라는 말을 들으면,

‘사기 아닌가’의심하게 되죠.

실제 많은 코인 금융, 코인 전문가들이

테라의 알고리즘은 사실상 ‘폰지사기’라고 지적했습니다.

‘폰지 사기’는

다음 사람에게서 돈을 받아 이전에 투자한 사람에게 이자를 지급하는 다단계 사기를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 단위 사기를 벌인 조희팔의 사기 방식으로 알려져있죠.

아무튼,

테라 역시 ‘연20%’의 이자를 만들어내는 방식이

신규 거래자의 자금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폰지사기라고 보여지는거죠.

원인은 여러가지로 추정됩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 것이

알고리즘 자체에 대한 의문이

일순간 투자자들에게 공포로 다가왔다는 것 입니다.

법정통화를 취급하는 은행들 조차

‘뱅크런’이 일어나면 기능이 마비됩니다.

일순간에 시장에 풀린 6조개의 루나 코인은

흡사 뱅크런과 유사한 현상을 불러오게 됩니다.

루나 코인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이 일순간에 공포를 느끼고

자산시장에 루나를 내놓게 되죠.

이게 한꺼번에 몰리면 결국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가치는 일순간에 폭락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한 스테이블코인의 취약성이 드러난 순간이다.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악의적인 공격이 루나와 테라의 붕괴를 더 가속화시켰다는 주장도 있다.

세계적인 금융 위기 순간마다 등장하는

헤지펀드들의 이름이 여기서도 등장한다.

블랙록, 시타델, 제미니거래소 등이 공매도 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지만

정작 관계자들은 이러한 의혹을 부인하는 상황이다.

어찌되었든

탈중앙화된 화폐지만

법정화폐와 유사한 가치를 유지하는

스테이블 코인의 이상은 다시 한 번 무너져 내렸다.


테라 사태가 뼈아픈 이유

이번 테라 폭락으로 인해 피해를 본 투자자는 대략 20만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개인의 자산이 일순간에 휴지가 되어버리는 상황을 경험한다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고통스러울 거에요.

투자자 개인들에게도 고통스러운 시간이지만,

탈중앙화를 선도하는 업계 차원에서도 고통스러운 시간이 될 듯 합니다.

이미 미국 금융당국은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을 의회에 제출해 놓은 상태죠.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것입니다.

달러라는 세계 기축통화를 발행하는 나라인만큼

미국 금융당국의 조치들은

가상자산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측됩니다.

당장 스테이블코인들 중에서도 미 금융당국에 우호적인 코인들만

살아남을 것이라는 우려가

과장된 것이 아니라는 분위기가 시장에 팽배해있습니다.

미국달러를 기반으로 한 스테이블코인인 USDC의 유통량이 급증하는 것만 봐도,

당분간 탈중앙화는 요원해졌다는 느낌이 듭니다.


앞으로의 자산시장 흐름은?

이번 사태가 뼈아픈 이유는

유독 가상자산 시장에 젊은 세대가 몰려있기 때문이에요.

왜 2,30대 젊은 세대는 코인에 집중하고 있나?

다른 자산에 투자할만큼의 ‘돈’이 없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투자를 하기에는 시드머니가 한참 부족하고,

주식사장은 상투를 잡은 것 같은 느낌이 드니

좀 더 다이나믹하게 변동하는 시장에서 ‘고수익’을 노려보려 한 것이죠.

시장 참여자와 참여액수가 늘어나며

시장이 활성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탈중앙화와 보다 다양한 기술들이 선보일텐데,

당분간은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시장의 공포를 몰아내기 어려울 듯 하네요.

그나마

‘묻지마 투자’의 위험은 코인 시장에도 마찬가지로 작동한다는 것을

많은 이들이 배운 사건이 되었다는 점에서

위안을 삼아봅니다.

시간과 바꾼 투자금이 녹아내리는 상황도

언젠가는 먼 과거의 경험 정도로 기억될 날이

오길 희망합니다.

Leave a Comment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